Minolta XG-M

Minolta XE-7, XG-M 사용기

필름 카메라 이야기 (2)를 해볼까 합니다. 이것은 카메라만 보면 (선덕선덕♥) 가슴이 뛰는 사람이 이제껏 써 본 몇 몇의 카메라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 이렇게 거창하게 시작하지만 실은 (현실적인 제약으로) 많은 카메라를 써본 것은 아닙니다. 없는 살림에 그나마 써볼 수 있었던 ㅡ 그리고 지금도 사용하고 있는 ㅡ 몇 몇의 카메라에 관한 개인적인 고백입니다.


Canon A35F를 손에 쥐고 사진을 찍다보니 아쉬운 점들이 하나씩 생겨나기 시작합니다. 


- rangefinder가 갖고 있는 최소 촬영 거리에 대한 제약 (약 70cm)
- 최대 개방 조리개 값이 2.8에 이르다보니 빛이 부족한 실내에서는 촬영이 매우 어려운 점 
- 특히나 역광에 대단히 취약한 40mm 1:2.8 붙박이 렌즈
- 그리고 무엇보다도 사용자가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는 점


위의 이유로 다른 카메라를 찾아보게 됩니다. 사용이 불편하기 때문이 아니라, 사용이 더 불편하더라도 그래서 한 장을 담는데 더 오랜 시간과 수고가 들더라도 색다른 재미를 위해 다른 카메라를 찾아 나서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아는 분으로부터 잠깐 동안 빌려 써보게 된 것이 Minolta XE-7입니다. 이 카메라는 역시 아웃포커싱이 잘 된다는 blackbody 74년에서 77년 사이에 만들어진 Minolta XE의 북미 버전입니다. 유럽에는 XE-1이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었습니다. 35mm SLR 카메라로서 Leica와의 콜라보를 통해 생산되어 Leica R3와 유사한 부분이 있다고도 합니다. 같이 빌린 렌즈는 Rokkor 50mm 1:1.4로 위에서 언급했던 취약점을 모두 극복할 수 있었습니다. 최소 촬영 거리가 약 30cm 정도로 줄어들었고, 최대 개방 조리개가 1.4에 이르러 iso 400 이상의 필름을 사용하면 늦은 밤 실내에서도 조금만 주의를 기울여 사진을 담을 수 있었습니다. 셔터스피드와 조리개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으니 노출 오버와 언더를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자유롭게 조작 가능한 것도 매력적이었습니다. 그리고 역광에도 Canon A35F가 보여주었던 것 만큼 취약하지도 않았습니다. 게다가 뷰파인더의 중앙부의 split-image가 무척 선명했습니다. Canon A35F의 희끄무레한 노란 상자에 비하면 Minolta XE-7의 split-image는 그 자체로 감동이었습니다.

Minolta XE-7
Minolta XE-7 (image credit:Flickr)

무엇보다도, Minolta XE-7을 짧은 시간 동안 사용하면서 저는 대단히 중요한 두 가지를 깨닫게 됩니다. 첫 번째는 화각입니다. 제게 50mm의 화각은 너무 비좁았습니다. Canon A35F는 40mm의 화각을 갖고 있는데 그보다 더 시야가 좁아졌습니다. 그리고 이 좁아진 시야는 갑갑함을 가져왔습니다. 뷰파인더 내의 세상은 더 없이 선명해졌지만 그 선명한 세상은 ‘좁았습니다’. 이것은 전적으로 개개인의 성향에 의존하는 문제로 제 성향을 파악하는 것은 무척이나 중요한 일이었습니다. 그리고 후에 50mm 화각은 다시 찾지 않게 됩니다. (몇 년 후, 한 번 더 50mm 화각을 써 보고는 정말 정말 그 뒤로는 찾지 않게 됩니다.) 50mm 화각이 ‘나쁘다’라거나 ‘못 쓸 화각’이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이 아닙니다. 다만, 한정된 예산으로 단 하나의 렌즈만을 선택한 점, 그리고 피사체가 대부분 정물과 풍경인 이유로 저는 35mm 라는 화각에 종착하게 되었습니다. 


Minolta XE-7 viewfinder

두 번째는 Minolta라는 카메라 브랜드 입니다. Minolta는 지금 시대에 저렴한 가격으로 괜찮은 카메라를 구할 수 있는 현실적인 카메라 브랜드입니다. 업으로 사진을 찍는 상업 사진사가 아닌 이상, 저처럼 취미로 이 동네 저 동네 마실 정도 다니며 그리고 간혹 출장이라도 가게 되면 어깨춤에 걸쳐메고 몇 롤의 필름을 소비하는 그런 아마추어에게 딱 적당한 카메라를 만들어 냈습니다. 가격 이야기를 잠깐 하자면 Canon으로는 AE-1, Pentax에는 Me, Me Super, Nikon에는 FM2, FE2 정도가 저렴한 가격에서 구매할 수 있는 SLR 필름 카메라 입니다. 그러나 Nikon의 바디들은 저렴하긴 하나 Minolta의 X 시리즈에 비해 약 2배 가까이 비싼 것이 사실입니다. 그리고 매물도 Minolta에 비해 그리 많지가 않습니다. (그랬습니다. 지금은 또 다를지 모릅니다.)

최초 출시가를 두고 이야기한다면 이런 표현은 어불성설입니다. Minolta가 보통의 아마추어 취미 사진가들을 위해 만들어낸 카메라는 SR-T 시리즈였습니다. XE 시리즈는 프로 사진가를 위해 출시한 고급 라인의 카메라로서 출시가가 260 - 300 USD에 달했습니다. 물론 렌즈는 미포함, 바디만의 가격입니다. 30여년이 지난 지금 시대에 Minolta의 X, XD, XE 시리즈 바디들은 약 10만원 내외의 저렴한 가격으로 필름 사진의 매력을 맛볼 수 있게 해 주고 있습니다. 필름 회사들이 도산을 하고, 필름 가격이 상승하고, 심지어 단종되고, 동네에 하나씩 있던 현상소가 문을 닫고, 충무로의 현상소 마저 하나 둘 씩 사라져가는 이 시대야말로 사람들로부터 잊혀져가는 필름 카메라를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절호의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시기는 그렇게 오래 가지 않을 것입니다. 아니 어쩌면 얼마 남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40여년이 지나 우리는 보다 저렴해진 가격으로 기계적 성능이 뛰어난 카메라를 써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상당 수 이러한 중고 카메라들이 이제 노년의 삶에 접어들었다는 점 입니다. Minolta XE-7 이후, 중고로 Minolta XG-M을 들여 사용한 지 3년 째에 와인딩 놉을 돌려도 셔터가 눌러지지 않아 남대문의 어느 수리점에서 5만원을 내고 수리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로부터 반 년 후, 다시금 같은 증상에 충무로의 어느 수리점에 수리를 의뢰하러 갔을 때 일흔도 넘어뵈는 노년의 주인께서 카메라를 슬쩍 보고서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이게 사람으로 치면 여든이 넘은거에요. 여든이 넘었으니, 병원에 가서 고친들 그게 오래 안가요.”


다시 XE-7 이야기로 돌아와, 바디와 렌즈를 빌려준 분께 반납하고 10만원을 들여 중고 거래로 Minolta XG-M을 구매하게 됩니다. JCPenney 백화점의 상표가 붙어있는 35mm 1:2.8 렌즈와 함께 말이죠. 

Minolta XG-M
Minolta XG-M

 

 

Minolta XG-M의 셔터 버튼(왼쪽)과 viewfinder(오른쪽)
Minolta XG-M의 셔터 버튼(왼쪽)과 viewfinder(오른쪽)

2010년 초에 구매한 Minolta XG-M은 이후 카메라 가격의 3배를 주고 역시 중고 거래로 구입한 Minolta nMD 35mm 1:1.4 렌즈와 함께 저의 필름 사진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은 사진을 담아준, 저와 함께 동네 마실부터 해외 출장까지 어디에나 함께 한 소중한 카메라로 자리 잡습니다. XG-M을 사용하는 동안 Leica M6와 iiif, Cosina의 Voigtlander Bessa R2, R2A 시리즈, Fujifilm의 Natura Classica, Olympus의 XA2 그리고 Nikon FE2를 사용하게 되지만 언제 어디서나 제 가방 속 한 구석을 차지하고 있던 카메라는 바로 Minolta XG-M 이었습니다. 수많은 사진을 담아낸 XG-M은 몇 번의 고장과 수리를 거쳐 2013년 12월, 파란 창틀이 인상적이었던 호텔 나르시스 (체르마트, 스위스) 앞 길가에서 드디어 은퇴를 하게 됩니다. 영화 ‘친구’의 광고 카피가 ‘곁에 두고 오래 사귄 벗’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4년의 짧다면 짧은 시간 동안 제게 이 XG-M이 그러했고, 소중했기 때문에 더 이상 사진을 찍을 수 없게 된 카메라를 은퇴시키려 마음 먹었던 순간이 더 없이 특별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고향집 책상 서랍 속에 nMD 렌즈와 함께 잠들어 있습니다.

XG-M의 마지막 컷 (Zermatt, Switzerland)
XG-M의 마지막 컷 (Zermatt, Switzerland)

Minolta XG-M과 nMD 35mm 1:1.4 렌즈로 담은 사진들로 짧은 글의 마무리를 대신합니다. (대부분의 사진에서 Kodak의 Portra 160NC, 160VC 그리고 차후 생산된 160과 400을 사용하였습니다)

 

 

 

Zurich, Switzerland
Zurich, Switzerland

 

 

Nottingham, UK
Nottingham, UK

 

 

Gyeonggi, South Korea
Gyeonggi, South Korea

 

 

London, UK
London, UK

 

 

Zurich, Switzerland
Zurich, Switzerland

 

 

Zurich, Switzerland
Zurich, Switzerland

 

 

Paris, France
Paris, France

 

 

Seoul, South Korea
Seoul, South Korea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Seoul, South Korea
Seoul, South Korea

 

 

Seoul, South Korea
Seoul, South Korea

 

 

Jeju, South Korea
Jeju, South Korea

 

 

Seattle, USA
Seattle, USA

 

 

Tucson, USA
Tucson, USA

 

 

Seattle, USA
Seattle, USA

 

 

Paris, France
Paris, France

 

 

Giverny, France
Giverny, France

 

 

Jeju, France
Jeju, France

 

 

Preston, UK
Preston, UK

 

 

Paris, France
Paris, France

 

 

Preston, UK
Preston, UK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Preston, UK
Preston, UK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Paris, France

 

 

LA, USA
LA, USA

 

 

LA, USA
LA, USA

 

 

LA, USA
LA, USA

 

 

Paris, France
Paris, France

 

 

Tucson, USA
Tucson, USA

 

 

Tucson, USA
Tucson, USA

 

 

Seoul, South Korea
Seoul, South Korea

 

 

Tucson, USA
Tucson, USA

 

 

Seoul, South Korea
Seoul, South Korea

 

 

Busan, South Korea
Busan, South Korea

 

 

Seoul, South Korea
Seoul, South Korea

 

 

Tucson, USA
Tucson, USA

 

 

Busan, South Korea
Busan, South Korea